재고의 순환 과정 : 한마디로 현금 -> 재고생산 -> 현금 -> 재고생산 ......
재무상태표는 이러한 재고의 순환 과정에서 특정 시점을 정해 현재의 재고와 현금, 설비자산, 부채 등을 정리한 것이다. 이 원리로 이해하면 재무상태표 의미가 좀더 명확해진다.
자산의 용도로 구분하면 자산은 크게,
1. 금융자산 : 현금, 단기금융자산, 유가증권, 매출채권 등
- 유가증권 : 화폐 등 돈의 역할을 하는 종이쪼가리 등
i) 주식증권 : 주식회사의 지분을 유가증권으로 발행한 것.
ii) 상품증권 : 특정 물건의 권리를 명시 ex)문화상품권, 버스카드 등
iii) 화폐증권 : 화폐 수표 어음 등 액면가가 명시된 것들
- 매출채권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권으로 외상매출금과 받을 어음 등 외상 판매 대금을 의미
(회수 중인 금융자산)
2. 사업용자산 : 사업에 들어간 비용. ex) 재고자산
3. 투자자산
으로 나눌 수 있다.
자산구조에서 유무형자산 위주로 사업용 자산이 많은 경우 -> 이는감가상각비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익률 낮추는 요인
외상매출금 : 회수 못하는 경우 허다하다.
재고자산 : 시간이 지날수록 쓰레기로 변신
고정자산 : 사용할수록 마모
-> 야박한 평가, 부정적
'그레이엄', '워렌 버핏' 또한 가장 좋은것이 현금이라고 생각한다.
ex) 더존비즈온
구분 |
당기 |
전기 |
재고자산의판매 |
87억 |
86억 |
종업원급여 |
744억 |
666억 |
지급수수료 |
282억 |
262억 |
유, 무형자산 상각비 |
163억 |
157억 |
판매수수료 |
1.6억 |
7900만 |
의주용역비 |
195억 |
121억 |
기타 |
254억 |
249억 |
합계 |
1729억 |
1539억 |
종업원급여, 유무형자산 상각비 - 고정비 => 907억
1729억에서 907억(고정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굉장히 크다.
더존비즈온은 고정비형 기업이다. 고정비형 기업은 매출이 증가할 때, 영업레버리지를 향유한다.
영업레버리지? 매출 증가폭보다 영업이익 증가폭이 더 큰 경우를 말한다. Why? 고정비가 크기 때문에 고정비는 일정하게 크다.
위에서 설명한 매출채권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매출채권은 물건을 파는 과정에서 회사가 불가피하게 금융적 부담을 지는 일이다.
이는 기업에게 굉장한 손실이다. 돈을 버는 일인데 왜 기업에게 손실일까? 이는 간단하다. 기업은 빠르게 현금화해서 어느 곳으로든 재 투자하는게 바람직한 방향인데, 매출채권이 많으면 그만금 자금이 묶이고 자금 조달이 주춤하게 된다.
예를들어, 주식투자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총 투자 가능금액이 1억과 0원 어느쪽이 유연하게 투자를 할 수 있을까? 어느쪽이 바겐세일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까? 현금이 많은 쪽이다. 기업의 경우도 똑같다.
운전자본 = 매출채권 + 재고자산 -> 기회비용
순운전자본 = 재고자산 + 매출채권
순운전 자본은 적을수록 좋다.
매출채권에서 대손충당금이라는 것을 설정한다.
대손충당금이란? 회수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금액을 미리 비용으로 처리한다.
대손충당금은 과거에 있었던 대손충당금과 비슷하게 그리고 그들만의 계산으로 확정짓는다.
자산
매출채권 500
(대손충당금) -15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15
이렇게 대손충당금으로 -15표시하고(구체적인 회계장부에 그 차감내용 기록) 손인계산서에 판관비 15로 표기한다.
※ 판매 관리비란 ? 판매하고, 관리하는데 드는 비용. ex)판매비 : 출장 등, 관리비 : 월세 등
If) 매출채권 10억원이 대손확정일 경우 회계처리
자산
매출채권 500 490
(대손충당금) -15 -5
485 485
손익계산서
매출액
판매관리비
If) 매출채권 10억원 추가 발생시 회계처리
자산
매출채권 490 480
(대손충당금) -5 0
485 480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5
If) 전년도 대손상각비 환입받았을때(5억)
자산
현금 5
손익계산서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5